글로벌 파견자가 전하� 어드바이�
싱가포르 Korea Desk � by 김희수 Director
한국� 싱가포르� 경제� 협력, 전략� 파트너십, 문화 교류� 통해 강하� 발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�, 2025� 외교 관� 50주년� 앞두� 협력� 더욱 강화되고 있다. 이번 호에서는 싱가포르 Korea Desk� 파견 중인 김희수 Director ([email protected]) � 통해 싱가포르� � 상황� 비즈니스 � 고려해야 � 점에 대� 살펴본다.
world

# 아시� 금융허브� 도약하는 싱가포르, 한국 기업� 기회 확대

싱가포르� 아시아의 금융허브로서 확고� 입지� 다지� 있다. 최근 세계은행에� 공개� 기업하기 좋은 환경(Ease of Doing Business) 순위에서 홍콩(3�)� 앞선 2위를 기록했다. 금융뿐만 아니� 지리적 이점� 활용� LNG � 원자� 거래 허브로서� 역할� 확대하고 있다.

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주목� 만한 진전� 있다. 2024� 10� 8�, 윤석� 대통령은 싱가포르� 국빈 방문하여 기술협력� 스타트업 협력 MOU, 전략� 동반� 관� 수립, 그리� LNG 수급 협력 MOU� 체결했다. 이후 후속 협의� 통해 발표� 다양� 개선사항� 싱가포르 진출 시의 혜택� 주목� 필요가 있다. 싱가포르� 기존� Global Trading Program� Regional Head Quarters 혜택 외에�, 최근 도입� 글로벌 최저한세� 고려� 환급 가능한 투자세액공제 제도� 새롭� 도입하며 외국� 투자 유치� 적극 나서� 있다. 이러� 정책은 한국 기업에도 새로� 기회� 제공� � 있어 전략� 접근� 필요하다.

# 싱가포르� 세법 변화와 한국 기업� 대� 전략

싱가포르� 지리적 위치, 풍부� 금융·법률·회계 전문 인력, 기업 친화적인 세법 덕분� 동남� 투자와 지주사 운영� 중심지� 널리 활용되어 왔다. 특히 국외원천 배당 � 주식 양도차익� 대� 비과� 혜택� 제공하는 등의 이점으로, 많은 한국 기업들이 싱가포르� 지주사� 설립하여 동남� 시장� 진출� 왔다.

편, 2024� 1� 1일부� 시행� Section 10L 규정은 국외원천 주식 양도차익� 대� 과세 요건� 강화하고 있다. 기존� Section 13W(지분율 20% 이상� 2� 이상 보유 � 안전지대 규정) 외에� 싱가포르 소재 순수지주사(배당 � 양도차익� 발생하는 지주회�)와 비순수지주사 모두 싱가포르 � 실체� 요건(사무�, 인적자원, 의사결정� �)� 충족해야 한다. 이에 따라 동남� 투자 매각� 고려하는 한국 기업들은 싱가포르 지주사� 실체성을 충분� 점검� 필요가 있다.

또한, 글로벌 최저한세(Pillar 2)� 연결 매출액이 7.5� 유로(� 1� �)� 초과하는 다국� 기업 그룹� 대상으� 적용되는 국제 과세 규정이다. 글로벌 차원에서 연결 그룹 단위� 국가� 실효세율� 산정하며, 특정 국가� 실효세율� 15%� 미달� 경우 모회사가 차액� 최종 모기� 소재지국에� 납부해야 한다. 한국은 2024� 사업연도부� � 제도� 시행했으�, 싱가포르� 2025� 사업연도부� 소득산입규칙(자회사의 실효세율� 15%� 미달� 경우 차액� 모회사가 싱가포르� 납부)� 적격최저한세(싱가포르 � 실효세율� 15%� 미달� 경우 차액� 싱가포르� 납부)� 도입� 예정이다.

싱가포르 소재 한국 기업 대부분은 실효세율� 15%� 초과� 것으� 예상되지�, Global Trader Program � 세제 혜택� 받고 있는 기업은 법인� 부담이 증가� 가능성� 있다. 이에 따라 기존 세제 혜택� 약화� 대비해, 싱가포르� 새로� 투자유치 방안으로 환급 가능한 투자세액공제(Refundable Investment Credit)� 도입� 글로벌최저한세� 영향� 최소화하�, 친기� 환경� 유지하고 있다. 이는 싱가포르 � 사업 확장이나 신규 투자� 고려하는 기업들에� 긍정적인 영향� 미칠 것으� 보인�.

㣨Leyu 싱가포르 Dinner & Dance 행사 전경/ 㣨Leyu 싱가포르� 㣨Leyu Day 행사 현장

# 비즈니스 진행 � 고려� 사항은?

싱가포르� 다수� 해외기업� 진출� 있으�, 파견 주재원이 상당� 거주하는 국가이다. 싱가포르 정부� 자국민의 취업 기회� 보호하기 위해, 해외기업� 주재� 비자 신청 � 현지 채용� 싱가포르인의 수를 기준으로 비자 발급 여부� 결정한다. 따라� 추가 주재� 파견� 필요� 경우, 상황� 따라 현지 채용 인원� 늘려� � 수도 있다. 주재원은 일반적으� 사택, 자녀 교육�, 차량 등의 지원을 받으�, 이러� 혜택은 싱가포르 � 높은 생활�(�: 주택 임대� � 교육�)와 맞물� 상당� 비용� 수반된다. 싱가포르 � 한국 세법� 따르�, 주재원에� 제공되는 사택 등의 혜택은 과세 소득으로 간주� � 있다. 특히 본사 정책� 따라 파견 혜택� 대� 소득세를 회사가 부담하� 경우, 주재� 파견 � 지� 규모와 이에 따른 � 부담을 면밀� 검토해� 한다.

또한 싱가포르� 유럽, 미국, 아세�, 오세아니� � 다양� 민족� 거주하는 다문� 사회이다. 아시� 국가로서 한국� 유사� 비즈니스 문화� 있지�, 다수� 서양� 기업� 진출� 영향으로 절차와 규정� 철저� 준수하� 문화� 가지� 있다. 이는 비즈니스 활동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지므�, 기업은 이를 고려� 운영 방침� 수립해야 한다.

㣨Leyu 싱가포르 동료들과 함께 찰칵!

싱가포르 Korea Desk

싱가포르 진출� 희망하거� 현재 운영 중인 기업� 대� Audit, Tax, Advisory 분야� 원스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특히 싱가포르 지역적 특성� 고려하여, 싱가포르 � 주변 국가와 관련된 자문� 필요� 경우 고객사의 요구� 따라 㣨Leyu� Korea Desk 네트워크와 현지 팀� 협업� 통해 각국� Function� 전문가와 연결하고 있다. 이를 통해 고객사는 통합적이� 전문적인 자문� 받아 효율적이� 효과적으� 비즈니스� 운영� �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