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P29� 통해 � 국제 기후 정책
변화와 시사점은?

기후재원 안건으로 뜨거웠던 �29� 유엔기후변화협� 당사국총�(Conference of the Parties 29th, COP29)가 � 2주간� 일정 끝에 최종 합의� 이루� 11� 24� 폐막했다. COP29�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� 대� 선진국과 개발도상� � 대립이 첨예하여 당초 폐막�(11� 22�)� 넘겨 일정 연장� 거듭� 끝에 최종 합의문을 도출했다. 이번 호에서는 COP29에서 다루어진 주요 논의 사항� 대� 분석하고, 이에 따른 국내 산업 영향� 고찰하여 기업들의 전략 수립 � 고려해야 � 사항� 알아본다.
market

COP29, 어떤 논의가 이뤄졌을�?

해마� 기후변화와 ESG 관� 키워드로 주목받는 ‘COP’는 당사� 총회라는 ‘Conferenceof the Parties’의 약어�, 유엔기후변화협� ‘당사국 총회’를 의미다. 1995년부� 매해 개최되어 � COP� 올해 29회째� 맞이했다.

COP29�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 개최되어, 주요 의제� � 신규 기후재원 조성 목표(The New Collective Quantified Goal, NCQG), � 파리협정 �6�(Paris Agreement Article 6), � 에너지 저� � 전력� 서약 � 유기� 폐기� 메탄 감축 서약 등이 논의됐다.

COP29� 핵심 쟁점이었� 신규 기후재원 조성 목표(NCQG)� 극적� 타결을 이루었다. 이에 따라 각국 정부와 민간� 합쳐2035년까지 연간 최소 1� 3,000� 달러� 기후재원� 확대하고, � � 선진� 주도� 연간 최소 3,000� 달러� 마련해야 다. 또한 당사국들은 국제탄소시장 설립� 골자� � ‘파리협� �6.4조� 세부 지침을 파리 협정� 타결된 지 10� � 만에 합의했다.

한편, 이번 COP29 의장국인 아제르바이잔� 제안� 기후 행동� 촉진하는 14� 이니셔티� 가운데 기후금융행동기금(Climate Finance Action Fund) 출범은 신규 기후재원 조성 목표(NCQG) 대� 우선순위가 낮아 연기됐다.

반면 에너지 저� � 전력� 서약(Global Energy Storage and Grids Pledge)� 유기� 폐기� 메탄 감축 서약(Declaration on Reducing Methane from Organic Waste)은 아제르바이잔� 비롯� 다수 국가가 참여 의사� 밝혔으며, 한국� 동참한다� 발표했다. 각각� 서약은 2030년까지 � 세계 에너지 저� 용량� 2022� 대� 6� 확대하고,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 2020� 대� 최소 30% 이상 감축하는 내용� 담고 있다.

market

�2035년까지 선진국이 최소 연간 3,000� 달러 신규 기후재원 조성� 합의

이번 COP29에서� 주요 성과� 선진국이개발도상국의 기후대� 지원을 위해 2035년까지 기존 대� 3� 늘어� 3,000� 달러� 확대하는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(NCQG)� 공식적으� 최종 합의문에 명시했다� �이다. 기금 규모 � 주요 사안� 대� 선진국과 개발도상� � 입장 차로 협상� 거듭했으�, 마침� 양측� 기후재원 조성� 최종적으� 합의했다. 다만, 기여금마� 방법� 구체� 방안� 대� 합의가 부재하�, 현재 유엔기후변화협�(UNFCCC) 분류체계� 바꿔 기후재원 공여 국가� 확대하자� 추진� 불발되는 � 일부 한계점이 존재다.

COP29 최종 합의문에 대� 사이� 스틸유엔기후변화협�(UNFCCC) 사무총장은 이번 합의가 모든 참가국의 기대� 충족하지 못한 아쉬움� 나타냈지�, “이� 새로� 금융 목표� � 세계적으� 악화하는 기후 영향 속에� 인류� 위한 보험 정책이다”고 평가했다.

COP29 최종 합의, 기업� 미치� 영향� 고려해야 � 점은?

먼저 한국� 주도하는 원자력과 수소� 중심으로 � 무탄소에너지(Carbon Free Energy) 이니셔티브가 순항 중인 점을 고려 � 무탄소에너지원에 대� 지� 정책� 확대� 것으� 예상된다. 이에 주목하여 국내 기업들은 차세대 기술 선점� 더불� 청정 에너지� 다양하게 아우르는 기업 � 제휴� 협업 � 비즈니스 모델� 마련해야 다.

또한 한국� 에너지 저� � 전력� 서약 동참은 ESS(에너지저장장�) 시장� 부� 모멘텀으로 작용� 가능성� 있다. 국내 ESS 기업은 시장 부상에 대� 전략 수립� 필요하고, � � 기업은 ESS 설치 의무� 등에 대� 대� 방안� 검토해� 다.

국제 탄소배출� 시장 활성화는 국내 민간 분야 온실가� 감축 목표 달성� 촉진하므� 기업은 탄소배출� 시장 모니터링� 통한 대� 방안 수립� 필요하다. 특히, 탄소배출� 가치가 점차 증대되고 중장� 관점에� 탄소 감축� 대� 재무� 가치도 상승� 전망으로 국내 기업은 온실가� 감축 기술 투자� 병행해야 다.

마지막으�, 한국� 유기� 폐기� 메탄 감축 서약� 동참했기 때문� 2035 국가 온실가� 감축 목표(Nationally Determined Contributions, NDC) � 메탄 감축 목표가 높아� 가능성� 있다� 점이�. 유기� 폐기� 처리 산업에는 NDC� 반영� 목표� 큼의 메탄 감축� 필요� 점을 고려하여 기업은 NDC � 부문별 온실가� 감축 목표량에 대� 시나리오 기반� 전략� 수립하여 다양� 변수에 종합적으� 대비해� 다.

* 아래 링크� 클릭하면, � 칼럼� 대� 자세� 내용� 보고서로 확인� � 있습니다.

   COP29 Review: 바쿠(Baku) 합의  

CONTACT US
· ESG 비즈니스그룹 리더 · 이동� 부대� ( [email protected])
· 경제연구� · 정미� 책임연구� ( [email protected]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