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조랶
최초� 생각이다

two

 

향후 본격적으� 펼쳐� AI 초융합경� 시대� 인간� 생존자격증은 바로 독창� 창의력과 입체� 상상력이�. 그래서인지 요즘은 � 세상� 창조� 인재 열풍이다. 모범생보� 모험생이 뜨고 , 엉뚱� 괴짜(geeks)가 각광받는 시대�. 그동� 사람들이 열광해온 천재들의 창조습관은 셀 � 없이 많다. “구조를 해체하라, 상품� 아니� 의미� 창조하라, 비평가들을 비평하라, 더욱 단순화하�, 거꾸� 뒤집� 반대� 생각하라 등등...�

 

# 생각하지 않는 사람�

순식간에 무엇이든 검색하� 질문� � 있는 세상에서 개인� 경쟁력은 ‘생각하� 법을 생각하기(Think how to think)’에 달려있다. 창조� 결국 생각� 습관이기 때문이다. 이와 관련해� 미국� 진보교육학자 루돌� 플레�(R. Flesch)� “늘 해오� 방식� 고수� 필요가 전혀 없다� 깨달�, 그것� 바로 창의력이다”라� 정의� � 있다.

그러� 요즘 한국인들은 생각하는 � 자체� 싫어한다. 심리학의 인지� 구두�(cognitive miser), 확증편향, 선택� 인지 등이 유난� 자주 언급되는 이유�. 특히 오늘� 검색의 노예들은 우리 사회� 대량으� 존재하고 있다. 깊은 나만� 사색 대� 검색에� 빠진 젊은이들은 자신� 가� 중요� CPU� 두뇌� 외주(outsourcing) 주는 격이 아닐 � 없다. 생전� 이어� 교수� ‘삼색의 통합’을 제안했다. “과거는 검색하�, 현재� 사색하고, 미래� 탐색하라. 검색은 컴퓨터기술로, 사색은 명상으로, 탐색은 모험심으� 한다. 삼색� 통합� � 젊음� 삶은 변한다.�

# 창조� 3요소

‘창조성(creativity)’이란 단어� 처음 � 사람은 언어학자 촘스키다. 그렇다면 나는 과연 창의� 인재인가?

 

첫째, 호기심이�. 

말보� 담배 광고� 유명� 레오 버넷은 모든 인생� 대� 호기심이 위대� 창조자들� 비밀이라 말했�. 호기�(curiosity)이야말로 모든 상상� 창조� 핵심 원료�. 세상에서 호기심이 가� 왕성� � 아이들이�. 종일 ‘왜’를 외치� 아이들의 순수� 호기심은 심리� 용어� ‘innocent why’라 한다. 이는 때때� 놀라운 발견으로 이어지거나 대박을 터뜨리기� 한다. 과거 픽사(Pixar)가 공전� 히트� 기록� <토이 스토�>가 좋은 사례�. 아무� 나이가 젊어� 호기심이 없다� 그는 이미 노인이나 다름없다. 여기� 중요� � ‘어떻게(Know-howㆍ방�)’보� ‘왜(Know-whyㆍ본�)’라� 점이�.

 

둘째, 재미�.

일찍� 월트 디즈니는 “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유일� 방법은 재미(fun)”라� 했다. 수많은 노벨� 수상자들은 그들� 일궈� 창의� 성과� 대� 질문� 대� 한결같이 “좋아하� � 하라(Do what you love)”고 대답하였�. 따라� 조직� 창조성을 불러일으키고 싶은 리더라면 무엇보다 직원들의 가슴을 설레� 요동치게 만들어야 한다(루돌� 효과).

 

셋째, 연결이다.

정확� 표현하자� 창조성은 ‘낯� 것들� 연결’이�. 본래 인간� 뇌는 과거� 없던 새로� 연결� 만들어지면서 창조� 생각� 하게 된다. 사회� 서로 다른 분야가 연결되면� 창조� 혁신� 일어나게 된다. 따라� 창조성의 발현 조건은 연결� 가로막� �, 칸막�, 장애� 제거하고 연결(connectivity)� 촉진시키� 것이 핵심이다. � 가지, � 호기�, 재미 그리� 연결� 통해 인간은 창조� 신세계로 진입한다.

# 최초� 생각하라

언젠� 최고� 깨지� 최대� 깨진�. 그러� 최초� 영원하다. 요컨대, 창조랶 한마디로 ‘최초의 생각’이�. 이를 위해서는 � 생각� 물구나무서기와 같은 역발�, 긍정적으� 부정하� 영감훈련 등을 통해 자신만의 생각근육� 길러� 한다. 하나 � 추가한다� ‘최초의 질문’이�. 과거에는 ‘아� 것이 힘�, 현재에는 ‘찾� 것이 힘’이었다� 미래에는 ‘묻� 것이 힘’이� 때문이다. 따라� 향후 AX 시대� 경영진은 멋진 대답보다는 흥미로운 질문� 하는 사람� 되어� 한다.

기업� 혁신(innovation)� 따지� 보면 � 본질에서� 창조� 일종이며, 창조랶 유쾌� 반란이자 기분 좋은 파괴�. 바야흐로 새로� 시스�, 새로� 컬처� 잉태� ‘새로운 다름’이 � 세상� 바꿀 것이�. “창조성은 전염되는 것이�.� 아인슈타인의 말이�.

국내 저명한 칼럼니스�(조선일보, 국제 PEN클럽 정회�)이자 베스트셀� 『생각의 차이가 일류� 만든다� 저자이�. 기타 법무법인 클라� 한결 고문 � 대통령직속 민주평통 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.

「두줄칼럼」은 삶과 일에 대� 근본원리� 비롯하여 경영 � 분야� 대� 인사이트, 아이디어 � 최신 트렌� 등을 언어� 쇼츠 형식으로 풀어낸 독창적인 초미니칼럼이�. 내용은 주로 인문ㆍ경영의 융복� 구성이며, AI시대 인간만의 생각품질� 높이� 영감� 주는 지� 아포리즘 결정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