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구 대변혁의 시대,
기업은 어떻� 미래� 준비해� 하는가?

통계청은 지� 9� 23� 국내 저출생·고령� 속도가 국제 추세보다 빠르�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50� � 국내 노인 비율은 � 세계 3�, 출산율은 꼴지 수준� 기록� 것으� 예측된다� 발표했다. 저출생·고령� 등의 인구 현상은 기업� 처해있는 외부 환경(산업)� 내부 경영 환경� 변화시키며 이전보다 더욱 � 영향력을 미칠 것으� 전망된다. 이번 호에서는 저출생·고령� 시대, 7대 산업� 유망 섹터 � 변화하� 있는 기업 경영 트렌드를 살펴본다.
market

저출생·고령화가 바꾼 산업 지�, 7대 산업에서 떠오르는 23� 유망 섹터

저출생·고령화는 인적 자원� 변화를 야기함으로써 기업 외부 환경 변화를 견인하고 있다. 그런� 이러� 변화의 방향� 항상 부정적이지만은 않다.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 새로� 섹터가 싹을 틔우기도 하기 때문이다. 여기서는 금융·테크·유통소비재·건설·모빌리티·헬스케어·레저 산업 � 유망 섹터� 알아봤다.

최근 개인� 기대수명 증가와 장수리스� 헤지� 위해 � 생애주기에서 예상되는 이벤트와 소득, 소비� 고려� 자산관� 필요성이 높아지� 있다. 이에 금융 산업에서� 젊을 때부� 노후 소득� 안정적으� 확보하고, 노후 재산� 종합적으� 관리하� 위해 자산관� 고도화·신� 서비스·헬�(Health)-웰스(Wealth) 매니지먼트가 유망섹터� 부상하� 있다.

또한 테크 산업에서� 가� � 노동력을 대체할 � 있는 스마트홈(스마� 가�)� 고령� � 영유아의 일상생활� 정서�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주� 돌봄 로봇� 주목받고 있다. 뿐만 아니�, 실시간으� 건강 상태� 모니터링� � 있는 스마� 디바이스, 인간� 퇴행� 신체 문제� 대응하� 위한 신체 보조 로봇� 유망 섹터� 도출됐다.

유통·소비� 산업� 알아보자. 이제� 고령층을 넘어 임산부·영유아·일반인까지 소비층을 넓힌 케어푸�(Care Food), 반려동물에게 � 좋은 것을 먹이� 입히려는 프리미엄 소비 패턴� 나타나는 펫코노미(Pet-Economy), 육아� 관� 다양� 니즈� 충족시킬 � 있는 디지� 솔루션인 페어런트 테크(Parent Tech)가 유통·소비� 산업에서 유망 섹터� 주목받고 있다.

건설 산업� 경우 1� 가� 연령대� 맞춤� 주거 솔루션에 대� 수요가 증가� 것으� 예상되는 가운데, 개인 공간 � 공용 공간� 공유하는 형태� 코리�(Co-Living) 주거, 편리하고 고급화된 주거 환경� 제공하는 시니� 하우�, 고령� 노인� 질환으로 보살핌이 필요� 어르신들� 위한 데이케� 센터가 유망 섹터� 분류된다.

모빌리티 산업에서� 차량 � 센서� 탑승자의 안전·건강� 살피� 솔루션인 인캐�(In-Cabin) 헬스케어·로보택시·고령인� 중심 MaaS(Mobility as a Service), 헬스케� 산업에서� 난임 치료제·펨테크(Femtech)·시니� 스마트홈 솔루션·치� 치료�, 레저 산업에서� 올인클루시브(All-Inclusive) 크루즈·콘텐츠 IP(지식재산권)·시니� 여가 큐레이션 � 커뮤니티 플랫폼이 유망� 분야� 도출된다.

market

생산성과 효율� 저� 우려, 기업은 밸류체인 혁신으로 대�

마이� 포터 하버드대 교수� 밸류체인 모형� 따르�, 밸류체인은 기업� 직접적인 가� 창출� 기여하는 생산-물류-판매·서비� 단계와 간접적인 지� 활동 분야� 기업 인프�(Firm Infrastructure), 인재 관�(Talent Management)� 구분된다. � � 생산·물류·기업 인프� 단계에서 관찰되� 변화와 이에 대� 대� 사례� 살펴보고� 한다.

업은 생산 단계에서 저출생·고령화로 인해 나타� � 있는 생산� 저하를 극복하기 위해 스마트팩토리� 활발� 이용하고 있다. 세계경제포럼에서 ‘등대공장’으� 뽑힌 포스코의 스마� 제철소가 대표적� 사례�. 포스코는 고로(용광�)·제강 � 공정에서 설비 이상 유무� 감지하기 위해 AI(인공지�) 기반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수립했다. 이를 통해 기존� 작업자가 2시간마다 � 번씩 쇳물 온도� 체크했던 업무� 이제� AI가 확인하고 제어하게 됐다.

물류 단계 역시 고령화로 인한 생산� 저하와 젊은 인력� 노동시장 진입 기피� 대응하고자 AI·드론·로봇 기술� 적용하고 있다. 일본� 히타치는 AI 기술� 토대� 물류 이동 최적 경로� 계산하고, 재고� 관리하�, 작업 일정� 최적화해 물류센터 전반 효율성을 극대화했�.

인프� 단계에서� AI� 필두� � ‘기� 혁신� � 고령·청장년층 근로자의 협업 효율성을 높이� ‘공� 혁신’을 토대� 생산연령인구 감소� 대응하� 있다. 일본� 소프트뱅크는 2018� ‘Automation Anywhere’에 투자� RPA(로봇 프로세스 자동�) 솔루션을 확보했고 여기� 자사가 보유� AI 역량� 결합� RPAI(RPA+AI)� 제시� � 있다. 소프트뱅크는 RPAI� 고령� 시대� 대응하� 주요 기술� 활용하면� 연간 770� 시간� 업무� RPAI 기반으로 대체할 � 있었�.

이제 인구구조 변화는 새로� 뉴노멀(New Normal)이라 해도 과언� 아니�. 기업은 � 사가 보유� 비전, 역량, 전략� 바탕으로 시장·지� 전략, 고객 세그먼트 전략, 성장 전략, 자원 전략� 수립함으로써 인적 자원 변화에 현명하게 대응하� 위기� 기회� 만들어야 한다.

* 아래 링크� 클릭하면, � 칼럼� 대� 자세� 내용� 보고서로 확인� � 있습니다.

 저출생·고령� 인구 대변� 시대, 기업은 무엇� 준비해� 하는가   

CONTACT US
· 시니어센� · 진형� 전무 ([email protected])
· 경제연구� · 김나래 수석연구� ([email protected]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