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03.18. [파이낸셜뉴스]

�2025� 국내 디지털금� 주요 이슈� 보고서서 제시

 

삼정㣨Leyu가 올해 디지털금� 7대 이슈� 선정� 발표했다. 최근 인공지�(AI)� 빅데이터 분석 � 기술 혁신� 정부� 데이� 개방 � 핀테크 육성 정책� 맞물리면� 국내 금융� 디지� 전환� 속도� 있게 진행되고 있다.

18� 삼정㣨Leyu가 발간� �2025� 국내 디지털금� 주요 이슈� 보고서에� 올해 국내 디지털금� 핵심으로 △망분리 규제 완화 △지급결� 제도 개선 △제4인터넷전문은� 출범 △마이데이터 2.0 △가상자산시� 동향 △혁신금융서비스 활용 △핀테크 기업 약진 등이 제시됐다.

삼정㣨Leyu 관계자� “간편결제를 중심으로 핀테크 서비� 경쟁� 격화되고 금융사의 디지� 전환� 고도화되면서 글로벌 경쟁� 확보� 위해 재점검� 필요하다”고 짚었�. 지� 2023� 기준 세계 100대 은� � 자본 기준 국내 은� 5개사가 포함� 반면, 디지� 전환 성숙� 기준으로� � 2개사� 포함됐다.

금융분야 망분� 개선 로드맵에 따라 규제가 단계적으� 완화되면� AI와 클라우드 기술 활용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� 예상된다. � 전자상거� 플랫폼과 전자지급결제대�(PG)사에 대� 규제 체계가 정비됨에 따라 판매대� 별도 관� 의무 � 전자상거� 안전성과 결제 인프� 신뢰 회복� 중요� 과제� 떠오르고 있다.

혁신성과 포용금융� 기반으로 �4인터넷전문은행의 연내 인가 � 금융업계 � 경쟁� 한층 심화� 전망이다. 오프라인 가� 허용, 정보전송 간소�, 보안 강화 � 마이데이� 서비스의 질적 성장� 차별화도 추진된다.

글로벌 가상자� 시장� 활성화되� 국내에서� 법인� 단계� 가상자� 거래 허용� 토큰증권 제도 도입, 가상자� 관� 2단계 입법 논의가 진행� 것으� 보인�. 금융규제 샌드박스� 활용� AI 기반 금융 서비�, 비금융사와 금융� � 협업 � 혁신적인 서비스도 더욱 확산� 것으� 보인�.

일부 핀테크 � 빅테� 기업� 재무� 성과가 개선되면� 기업공개(IPO) 추진� 해외 시장 진출� 활발해질 것으� 기대된다.

보고서는 금융� � 비금� 사업자들� � 같은 시장 � 정책 변화를 면밀� 살펴 혁신� 금융 비즈니스 모델� 개발하고 소비� 보호 � 신뢰 확보� 위한 리스� 관� 전략� 수립해야 한다� 조언했다.
특히 금융사는 디지털금� � AI 정책� 추진� � 있는 지배구�(거버넌스) 체계� 정비하고, 온라인·오프라� 채널� 재구성하� 데이� 활용 역량� 강화해야 한다. 비금융사� 새로� 규제 요건� 고려� 컴플라이언스(준법감�)� 강화하고, 금융사와 협력� 규제샌드박스� 적극 활용하는 전략� 마련� 필요가 있다.

이동� 삼정㣨Leyu 전무� “금융규� 샌드박스� 활용� AI 금융 서비� 출시가 활발해지�, �4인터넷전문은� 출범� 마이데이� 2.0 도입 등으� 디지� 금융 경쟁� 더욱 치열해지� 만큼 기업� 금융서비� 경쟁� 제고가 중요� 시점”이라고 강조했다.

김태일 기자 

 

‘2025년 국내 디지털금융 주요 이슈’ 보고서 발간